근로계약서 미작성시 불이익은?
카테고리 없음2025. 1. 1. 13:10
근로계약서는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임금, 근로 시간, 휴일, 업무 내용 등 근로 조건의 핵심 내용이 담겨 있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중요한 문서를 작성하지 않았을 경우 누구에게 어떤 불이익이 발생할까요?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발생하는 불이익 (사업주)
- 법적 처벌: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하고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114조에 의거하여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기간제 또는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에는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고용노동부, 각종 법률 정보)
- 노동 분쟁 시 불리: 근로계약서가 없을 경우, 근로 조건에 대한 입증이 어려워져 노동 분쟁 발생 시 사업주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금 미지급 문제 발생 시 계약서가 없다면 임금 액수를 명확히 증명하기 어려워집니다.
- 신뢰도 하락: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행위는 근로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사업장에 대한 신뢰도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인력 관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발생하는 불이익 (근로자)
- 근로 조건 불명확: 계약서가 없을 경우, 임금, 근로 시간, 휴일 등 근로 조건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부당한 대우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권리 주장 어려움: 부당 해고, 임금 체불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계약서가 없다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구제받기가 어려워집니다.
- 고용 불안정: 구두 계약만으로는 고용 관계의 안정성을 보장받기 어렵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서면 작성 및 교부: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해야 하며,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1부씩 보관해야 합니다.
- 필수 기재 사항 확인: 임금, 근로 시간, 휴일, 업무 내용, 취업 장소 등 필수 기재 사항이 빠짐없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상호 합의: 계약 내용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상호 합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전문가 도움: 필요시 노무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 작업장 근로자 안전보건시스템 (esc.kalis.or.kr)
국토안전관리원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작업장 근로자 안전보건시스템 (Kalis Employee Safety Check System)입니다. 근로자안전관리, 생활발생신고, 안전문자, 안전보건교육일지 등에 관련된 내용 확인해
hellosum.tistory.com
결론
근로계약서는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문서입니다. 미작성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을 꼼꼼히 확인하고,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하여 상호의 권익을 보호해야 합니다.